본문 바로가기

Special

악마를 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화는 최민식, 드라마는 김명민. 우리나라 대표 배우중 한 명이 바로 최민식이다. 그런 그가 2006년 2월 정부의 스크린쿼터 축소 방침에 화를 토한뒤, 지난 5년간 영화계를 떠나 있어야 했다. 영화 섭외조차 받지 못했단다. 뛰어난 배우지만 그도 일개 힘없는 국민의 한 사람일뿐. 추측이지만, 정부와 권력과 세상이 얼마나 원망스럽고 미웠을까? 독립영화에 참여하고 연극을 하고 술로 세월을 보냈단다. 자신이 놀던 판이 얼마나 그리웠을까?

그러던중 우연히 접한 시나리오 '아열대의 밤'을 들고 김지운 감독을 찾는다. 김지운 감독의 장편 데뷔작 '조용한 가족'에서 최민식과 함께한 뒤 12년만의 만남이었고, 그 사이 두사람은 성장할만큼 성장한 상태. 최민식은 유영철 사건 담당형사를 만나고, 김지운 감독은 자기만의 스타일로 시나리오를 수정하고 제목을 바꾸어 영화제작을 시작한다. 최민식의 상대배우로 역시 김지운 감독과 두 영화를 함께한 이병헌을 섭외했고 이 세사람의 만남만으로도 기대를 받기 충분했다. 겨울부터 시작해 여름까지 5개월간 최민식은 시나리오속 변태살인마 장경철과 하나가 되었다. 숨죽이며 태동을 기다리던 꽃잎처럼 붉은 흔혈(痕血)이 난무하는 난장에서 참았던 응어리라도 풀어내듯 영화속 배우와 한 몸이기를 원했다. 그렇게 그는 세상에서 제일 잔인한 악마가 되었다.

최근 한국영화의 트랜드(?)는 신체훼손과 잔인한 폭력이 난무하는 고어(Gore:상처에서 나온 피, 핏덩이, 엉킨 피)영화다. 외화 쏘우이후 추격자를 비롯해 많은 영화들이 서슴없이 토막질 해대며 관객의 마음을 졸이고 무겁게 만들었다. 악마를 보았다도 그런 영화들에 편승하며 입방아에 올랐고, 비슷한 장르의 해외영화와 비견되기도 했다. 최민식의 극도로 잔인한 연기는 혀를 내두르며 반감을 사기도 했다. 그만큼 그의 연기는 처절하고 비정한 극단의 절정선에서 영화를 무섭게 끌어간다.

영화가 생각보다 간결하지 못하고 길게 느껴지는 것이 약간의 흠이지만, 월메이드급 영화이고 이병헌의 연기도 괜찮다. 사회적으로 모방범죄가 일어나지 않겠는가 하는 걱정어린 시선도 있겠지만, 생각보다 잔인한 고어씬은 덜하다. 그런데, 최민식은 왜 하필 이런 극단적이고 잔인하고 변태적인 악마가 되었을까? 그의 처절하고 극에 달한 연기는 마치 힘없는 한 사람의 국민이 세상에 대한 분노를 몸부림치듯 표출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지난 5년간 자신을 내친 세상과 권력에 대한 배우의 처절하고 잔인한 복수를 연기를 통해 표출하는 것은 아닌가 싶다. 그 대상이 권력과 힘을 대표하는 이병헌의 역할이고, 최민식은 그에 저항하는 외롭고 고독한 소시민의 모습. 흔혈(痕血)이 난무하는 잔인한 장면과 영화의 스토리가 그것을 감추고 있지만, 최민식의 연기는 마치 소리없는 아우성, 핏발 선 저항처럼 다가온다.

자신의 정신과 피가 깨끗하고 순수해서 이런 영화를 보는 것은 잘못된 선택이고 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세상에는 살기 위해 자신의 몸에 시너를 뿌리고 불 붙이는 사람도 있고, 자신의 존재와 저항을 알리기 위해 자살하고, 죽음이나 범죄행각을 펼치는 무모한 사람도 있다. 도덕적 윤리적 기준으로 보면 그런 선택이 옳다고 볼 수 없겠으나, 그 행위들은 힘없는 한 사람의 국민이 행하는 마지막 선택이다. 배우가 그런 표현을 할 방법과 행위가 바로 연기다.

왜 극단적이고 잔인한 살인마 역할로 자신을 표현했냐고 물으면 그는 무엇이라고 답할까? 5개월간 실제 사람과 너무 흡사해 두려웠다는 더미(인형)와 붉은 핏물속에서 지낸 최민식은 역할을 마치고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했단다. 그의 세상과 권력에 대한 소시민적 저항은 그렇게 끝났다. 아니, 그의 저항은 이제 시작일 것이다. 기다렸던 놀이판이 아직 무궁히 펼쳐져 있지 않은가! 악마를 보았다, 배우를 보았다, 우리를 아니 내안의 분노를 보았다.

iPod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