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이태리 와인중에 최상등급에 붙는 라벨 DOCG seal을 확인한다. 재미있게도 우리나라엔 DOCG seal이 붙은 저가의 이태리 와인들이 많이 수입되는데, DOCG seal로 이태리 와인을 고르면 실패할 확률이 줄어든다고 볼 수 있다. 자세한것은 *DOCG로 검색해 보시길. IGT급부터는 머리아파질 문제들이 많다보니, 최상등급만의 특별함을 보여달라고 한다면 그냥 IGT급 슈퍼 투스칸이 낫겠다. 등급표를 보고 겁먹지는 마시라^^
다음으로, 네고시앙에서 출시하는 와인들을 고르면 실패 확률이 줄어든다는 것. 네고시앙이란 와인중계상을 의미한다. 자체 브랜드를 만들어서 유통하는 CALVET 나 Ginestet , Castel등 네고시앙들의 와인을 마트에서 아주 흔하게 만날 수 있다. 처음, 입문 단계에서도 좋은 점은 이런 네고시앙은 품종이나 종류를 다양하게 취급하고, 가격도 합리적이어서 여러 품종을 접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각 품종의 특징을 완전히 죽인 것은 아니니, 엄숙하게 생각하고 마시지 않는다면 꽤 괜찮겠다. 국내에 수입하기 위한 네고시앙으로서 마주앙도 꽤 괜찮다. 마주앙을 욕하기 전에 마주앙에서 다루는 와인의 종류들을 살펴보면 놀라울수밖에 없다. 마고까지 취급하기 때문이다. '난 몰라서 마주앙 마셔'라고 하지 말고 '마주앙도 좋은 게 얼마나 많은데 모르는구나?'가 정답이겠다.
자 또 한가지, 가자주류같은 곳에 가면 마트에서 본적도 없고, 검색도 제대로 되지 않는 와인들이 덩그러니 놓여서 팔릴 준비를 하고 있을때는 어떻게 할까? 일단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째는 프랑스 보르도 와인에 해당되는 이야기. 간단하게 년도를 보는 방법이다. 2003년이라고 적혀있고, 가격도 저렴하면 그걸 선택하라. 2003년도는 보르도 와인의 대풍년이였다. 일례로 히딩크가 즐겨 마시던 군신 딸보장군의 와인 사또 딸보는 2002년보다 2003년이 더 비싼데, 실제로 품질도 더 좋다. 딸보는 비싼 와인인데 무슨 소용이냐고 한다면, 풍년일때 나온 햇작물을 생각하면 된다. 풍년일때 나온 과일들은 어느곳의 특산품이건, 좀 떨어지는 곳에서 재배되던 품질이 좋은데, 이와 같은 이치다. 아무리 그래도 보르도의 빈티지 차트는 한번 봐줄 필요가 있다. 사또에 구분없이 언제가 좋은 해인지 알아두는 게 좋다. 참고로 2000년과 2004년도 보르도 빈티지 차트를 보면 점수가 좋은 편이다.
두번째는 그냥 수입사명을 보는 것이다. 수입사같은 경우 회사마다 소믈리에 역할을 하시는 분들이 계시다. 아니, 소믈리에라기보다 어떤 와인을 수입해야 될지 연구하는 사람이랄까? 일단 이름이 좀 들어봤다고 생각하면 그럭저럭 안심하고, 너무 싸면 그것은 믿지 마라. 필자는 개인적으로 "금양"이라는 수입사를 선호한다. "두산"도 일단 안심하는 편.(생각해보니 두산은 안심할만한 정도는 아니다. 생각해보니 ㅎ ㅎ ㅎ) 그쪽에서 나온 것들이 일반적으로 셀렉션이 좋은 편.
그렇다면 거론되지 않은 나라들... 칠레나 호주, 미국의 와인은 어떻게 고를까? 일단 신대륙의 와인들은 2만원 넘어가면 대부분 품질 괜찮다고 볼 수 있다. 컬럼비아 크레스트는 그랑 에스테이트도 2만원 초반 투바인은 만원 중초반이다. 맛은 어떠냐고? 놀라지 마시라! 필자의 경우는 스테인레스통에서 숙성하느냐, 오크통에서 숙성하느냐를 좀 따지는 편인데 컬럼비아 크레스트는 저가품인 투바인도 오크숙성이다. 저가 신대륙 와인치고 부케가 상당히 부드럽게 잘 느껴지는 와인이다. (사실 만원대나 그 이하의 가격대의 와인은 어떨까? 여기서부터는 오히려 경험이 크게 작용하므로 운에 맡기는 수밖에)
그리고 마지막 팁! 미친 가격의 와인을 구매하는 법!
마트에 가서 일 주일에 30분이라도 진열품들을 유심히 살펴보라. 필자는 시간나면 가까운 마트의 와인 코너에 가본다. 그래서 가격들도 살피고 새로 들어온 것도 뭐가 들어왓는지 확인한다. 물론 품종이나 빈티지도 유심히 살피긴 하지만, 익숙치 않으신분은 이름만 보면 익숙해질것이다. 그럼 그 미친 가격의 와인들을 만날 수 있느냐? 당연한 얘기지만, 이건 눈썰미의 싸움이다. 마트는 매일매일 가격표가 내려오는데, 3만원짜리 와인도 어느날 갑자기 5천원이 붙어서 나와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재고처리거나, 수입사가 바뀌거나, 같은 박스에 든 와인 한병이 깨져서 라벨이 더렵혀 졌다거나등의 이유에서다. 와인동호회에도 가입해봤지만 자유게시판에 정보를 올리는 사람들은 드물다. 그냥 친한 회원끼리 싹슬이를 하러 가는 모양이다. 필자도 이런 미친가격의 와인을 자주 구입한다. 바로사 벨리 출신의 Wolf Blass같은 넘도 5천원에 구입하고, 절대 2만원이하로는 팔지 않는 생떼밀리옹도 몇천원에 구입해보고, 트라피체에서 나오는 리제르바급의 오크 캐스트 말벡도 오천원에 나오고, 9~12만원선의 Jordan 까베네 쇼비뇽을 9천원에 구입한적도 있다.
그리고, 될 수 있으면 백화점에서 구입하기보다 마트에서 구입하길 권한다. 가격차이가 별로 없다고 하지만, 신세계에 파는 스모킹룬과 이마트에서 파는 스모킹룬 가격차를 보면 좀 이상한 기분이 들것이다. 일단 인기없는 와인들은 가격이 떨어질 확률이 높은데, 인기의 기준은 품질보다 명성에 기인한다고 하겠다.